[이슈+] 건조특보 속 동해안 산불 1년…커지는 산불위험<br /><br /><br />며칠째 이어진 건조한 날씨에 동해안권 산불 발생 위험이 고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내일이면 역대 최장 산불로 기록된 동해안 산불이 발생 발생한 지 1년이 됩니다.<br /><br />다시 찾아온 봄, 산불을 예방하기 위한 행동요령은 무엇인지, 백승주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,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예측·분석센터 박사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최근 전국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강원 지역의 경우엔 강풍예비특보가 발효되기도 했는데요. 이렇게 되면 산불 발생 위험도 상당히 고조되고 있다고 봐야겠죠?<br /><br /> 특히 동해안 지역에는 아까시꽃이 피는 5월 이후엔 산불이 나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다고 하던데요. 최근에는 이 속설도 깨지고 있다고요?<br /><br /> 특히 전문가들은 2100년까지 산불 발생 건수가 50%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는데요. 산불 발생 건수가 더 증가할 것이라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지요?<br /><br /> 산불 발생 위험도가 고조되는 현 상황이 우려스러운 건, 역대 최장 산불로 기록된 동해안 산불도 딱 1년 전 이맘때 발생했었기 때문인데요. 지난해 3월 4일 발생한 동해안 산불, 장장 9일 동안 진화되지 못했었는데요. 1년 전 상황 생각나십니까?<br /><br /> 동해안 산불이 발생한 지 어느덧 1년이 지났지만,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일상 복귀는 여전히 더디기만 합니다. 여전히 임시조립주택에서 생활하는 가구도 많다고 하던데요. 현재 복구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좁은 임시조립주택에 사는 이재민에겐 여전히 산불 피해가 진행 중인 셈인데요. 산림 복원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사회 경제적인 피해도 사실상 계속되고 있다고 봐야 하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 이런 어마어마한 손실을 막기 위해선 산불을 예방하는 게 최선일 텐데요. 산불 발생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각별히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기후 변화 등으로 발생을 막을 수 없다면 초기 진화도 매우 중요한데요. 천 신고부터 현장 도착 후 물 투하까지의 골든타임은 어느 정도인가요?<br /><br />#산불예방 #건조특보 #강풍 #동해안산불 #산불발생위험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